직접 경험하는 것보다 직무를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5주간의 Co-Work 직무부트캠프에서
현직자 멘토님, 팀원들과 함께 직무 역량을 쌓고, 협업 경험을 동시에 갖춰보세요.
Co-Work 직무부트캠프에 참여하면 얻어갈 수 있어요.
•
현직자 멘토님과 진짜 실무를 수행하며, 직무에 꼭 필요한 역량과 업무 스킬을 이해합니다.
•
업무에 대한 1:1 피드백과 코칭이 매주 제공됩니다.
•
업무 분담부터 결과물 도출까지 팀 프로젝트 전 과정을 수행하며, 협업 흐름을 이해합니다.
•
팀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소통, 문제해결, 시간관리 등 필수 협력 스킬을 키웁니다.
•
최종 팀 발표와 KPT 회고를 통해 성과를 공유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실무 역량을 강화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기업 자동차용 배터리 셀개발팀 엔지니어에서 프로젝트 매니저까지 하고 현재 스타트업 셀개발팀 팀장으로 스카웃되어 일하고 있는 11~13년차 경력 리드멘토입니다.
대학에서는 과학을 좋아하고, 제가 알고 있는 것을 쉽게 알려 주는 것을 좋아해서 선생님이 되려고 교직이수를 했지만, 교생 실습에서 공직과는 제가 잘 맞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일 보다는 서류작업을 하는 시간이 훨씬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실제 현업에서 진행하는 일을 미리 알았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셀개발팀 평가 파트 신입사원으로 시작해 모두가 다 알만한 자동차 OEM 제품 프로젝트 매니저 까지 현업에서 13년의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기업에서 경험한 자동차 전지용 셀 개발은 자동차 부품/공정 개발 Process를 아는 것이 훨씬 중요했습니다. 보통 연구/개발이라고 하면 이론적 지식을 많이 알거나, 석/박사 과정을 꼭 해야만 하는 직무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현업에서는 맡은 업무에 대한 책임감, 동료 등과의 소통 능력, 일정 수립/관리 하는 꼼꼼한 계획성 등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스타트업에서 요구하는 능력은 조금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예를 들면 작은 회사에서는 아무것도 없는 운동장에 새로운 공장을 세우고 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생각하면 쉽습니다. 보통은 회사가 작으니 “쉽고 간단한 일을 하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기 쉬운데, 오히려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스스로 목표를 세워 실천하는 기업가 정신,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적응력 등의 능력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이번 직무부트캠프는 신입사원 또는 경력 신입으로 입사를 준비 중인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 개발 평가 실무 A to Z, 프로젝트 매니징 까지 키워드로 알아갈 수 있고. 제가 아쉬움을 느꼈던 “현업에서 실제로 제일 많이 하는 일” 에 대한 간접 체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용어와 데이터를 활용해서 연구개발자와 프로젝트 매니저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보고, 내가 가진 강점들이 업무를 진행할 때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도 신입사원의 입장이 되어 어떤 내용을 선배들이 알려줬으면 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 앞으로 열심히 해보자구요!
10년차 이상 현직자 셀개발이팀장 멘토
현) 배터리 스타트업 셀개발 팀장
- 차세대 배터리 UN38.3 인증
- 차세대 배터리 Proto sample Verification/Validation
전) △사 리튬이온배터리 셀 개발팀 엔지니어, PM (프로젝트 매니저)
- HEV/EV 셀 설계 및 DFMEA (Design Failure Mode Effect Analysis)
- 양/음극/분리막/전해액 4대소재 업체 선정 및 PPAP (생산부품 승인 프로세스) 진행
- 선행상품화 개발 셀개발품 양산이관, 셀 PM 프로젝트 매니징
Co-Work 직무부트캠프에서 '대기업과 스타트업 모두 경험한 셀개발자와 2차전지 개발 & PM 실무 경험하기' 주제로 5주 동안 실무자가 될 수 있게 도와드리겠습니다.
주요 업무 소개
셀 개발 업무 프로세스를 간단히 먼저 소개해 드릴게요
1. 셀 개발 PL/PM 이 고객의 Requirement (요구사항)을 받아 3~5년의 개발 프로젝트 플랜과 개발목표를 작성합니다.
2. 셀 목표 성능 및 프로젝트 플랜에 맞게 Chemistry / 구조 설계 / 공정 설계 변경 DOE 계획을 합니다.
3. 계획된 DOE에 따라 실제 실험이 진행됩니다.
4. DOE 진행시 극판 (Chemistry 설계) – 조립 (구조설계) – 화성 – 공정을 거쳐 셀이 완성되면 셀 전기적/수명/안전성 평가를 진행합니다.
5. 셀 평가 결과와 공정 결과를 취합해 Test 결론을 도출하고 목표성능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회의를 거쳐 다음 DOE를 계획합니다.
6. 1~5를 반복하면서 고객의 Requirement 에 맞는 셀이 완성되면 Design Fix. 하게 됩니다.
7. 6에서 확정된 Design을 기반으로 양산 라인에 이관하여 초기 6개월~1년 동안 양산이관 작업을 거치면 셀 개발 업무를 마무리 하게 됩니다.
저희는 이번 직무부트캠프를 통해 2 ~ 5 단계의 업무를 알아보고,
실제로 고객에게 완성된 결과를 전략적으로 설득하는 방식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차 업무 : 실험 설계, 계획 / 자원관리 능력
신규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소재 변경/셀 설계 변경 평가 (DOE, Design of Experiment)를 계획하고 진행하는 업무가 중요합니다.
개발팀에서는 실제 소재를 개발하기 보다 협력사에서 제공하는 제품을 조립해서 고객의 Requirement에 맞는 제품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셀 설계 변경 항목에 따라 제품의 기본 성능, 안전성, 수명 평가 실험 계획을 주어지는 간트 차트를 활용하여 수립 하는 업무를 통해 제한적인 환경 조건에서 실험을 계획하는 자원관리 능력의 중요성을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2차 업무 : 보고서 작성 / 분석력, 아이디어 발상
보고서 작성 시에는 한 두 문장으로 간단하게 결론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엔지니어는 “숫자”로 결론을 표현하고 추상적인 표현 사용을 지양하는 방향으로 보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1차 업무에 대한 결과 data 를 SPEC. 과 비교해서 간단하게 테이블로 표현하는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테이블로 완성된 data를 보고 다음 DOE는 어떤 항목을 추가로 평가하면 좋을지 또는 어떤 설계 factor를 변경하면 개선이 될 지 아이디어를 추가하면 더 좋은 보고서가 될 수 있습니다.
3차 업무 : 기획력 / 마케팅 – 구매팀 전략적 기획 능력
자동차 전지 개발은 고객의 Requirement 를 잘 알고 소재의 특성뿐 아니라 가격 측면까지 고려한 Right-Fit-Design이 중요합니다. 실무 업무를 진행할 때 양산 직전에 VE (Value-Engineering)를 통해 셀의 단가를 낮추는 작업을 종종 하게 되는데, 이번 시간에는 마케팅 팀에서 청취한 고객의 VOC (Voice of Customer) 에 따라 구매팀과 전략회의 진행 시 필요한 자료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셀 개발 PL 로서의 기획력과 타 팀과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4차 업무 : 사업 운영 / 고객 설득 시나리오 작성
마지막 차수에는 실제 고객과 회의하는 상황에서 PM/PL 들이 사용하는 용어와 방식을 경험해 보겠습니다. 3주차에 작성한 자료와 1주차에 연습해 본 스케줄 계획을 통해 고객을 설득해 보겠습니다. 고객들은 종종 제품의 할인 Promotion이 필요 할 때 재료비 절감 시나리오를 요구해 옵니다. 제품 변경 시에는 DFMEA(design Failure Mode Effect Analysis),와 4M(Man, Material, Machine, Methode) change 관점 에서 설명하면 자동차 고객들은 쉽게 이해 합니다.
PM/PL 의 입장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고객을 설득하는 시나리오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이유를 알려드릴게요!
신입사원들은 연구/개발 직무가 배터리 소재를 직접 만들거나,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오해합니다. 실제로는 협력사에서 제공하는 제품을 조립해서 고객의 Requirement 에 맞는 최적의 제품을 만드는 업무를 합니다.
제품 성적서 COA (Certificate of Analysis) 를 보고 제품간 특성 비교를 하고, 각 부품의 특성을 파악해서 최종 셀 제품의 성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 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더불어 과제를 진행하면서 제한된 자본과 시간에서 고객 SPEC. 에 맞는 최적의 제품을 개발하고 운용하는 프로젝트 매니징 관점에서도 알아볼 수 있게 되겠죠!
막연하고 어렵지만 실제 업계에서 사용하는 배터리 기본 용어에서 자동차 부품/소재 제품 마케팅/매니징까지 임팩트 있게 알아가는 시간을 통해서 미래의 엔지니어로서 가져야 할 역량을 키워보는 뜻 깊은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상세한 업무 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과제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개인 과제는 3주차까지만 수행하며, 팀 과제는 5주 전반에 걸쳐 진행됩니다.
팀 과제는 개인 과제를 수행하는 1~2주차에 간단하게 [역할 분담 및 팀 과제 수행 계획 발표]를 진행한 후, 3주차부터 본격적으로 수행하게 됩니다.
1~3주차 : 팀원 각자 개인 과제 수행 + 팀별 과제 역할 분담 및 과제 수행 계획 발표
3주차 세션 후 : 본격적으로 팀 과제 수행!
1주차 | 5월 12일(월) 20:00~22:00 | 1-1) 현직자 직무 에센스 강의 및 Q&A
- 직무 입문 방법
- 직무담당자가 실제로 하는 일
- 직무담당자로 일하는 장, 단점과 요구 역량
- 주차 별 프로젝트 소개 및 선정 이유
- 팀 과제 부여 |
5월 12일(월) 22:00~22:30 | 1-2) 줌 소회의실을 통해 팀별 다음 회의 일정 수립 | |
5월 17일(토) 23:59까지 | 1차 개인 과제
양극 활물질 설계 변경 셀 기본 성능, 안전성, 수명평가 실험 계획 수립하기
신규 모델 개발을 위해서 소재 변경/셀 설계 변경 평가 (DOE, Design of Experiment) 계획하고 진행하는 업무가 중요합니다.
셀 PL (Project leader) 의 요청사항으로 기존 양극 (NCM) 에서 고 에너지 향 신규 양극 활물질 (NCMA) 를 변경 사용한 셀을 평가 해서 결과 보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고객의 Requirement (SPEC.) 항목 중 셀의 기본성능, 안전성, 수명 평가 진행을 위해 실험 계획을 수립해 주세요.
1. 고객 향 평가 (Verification) 항목 중 주요 Test 항목을 선택 (자료에 있는 항목 전체)
2. Gantt 차트를 활용한 일정 및 자원 관리
* 참고 자료 #1 : DOE 예시 Plan Excel 간트 차트 제공
* 참고 자료 #2 : SPEC. 항목별 Test 조건, 필요 셀 수량, L/T (Lead Time) 정보 제공
** 실험 계획법 이란? 링크 설명 참고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1664
*업무 결과물 : PPT/Excel (편하신 옵션으로 선택) 1 page 이내로 작성 | |
2주차 | 5월 19일(월) 20:00~22:00 | 2-1) 1차 과제 개별 피드백
2-2) 팀별 과제 역할 분담 발표(팀장) / 팀별 10분씩 |
5월 19일(월) 20:00~22:30 | 2-3) 줌 소회의실을 통해 팀별 다음 회의 일정 수립 | |
5월 24일(토) 23:59까지 | 2차 개인 과제
수명평가 실험 결과 data정리 및 신규 활물질 적용 보고서 작성
현재 고객사에 제출한 셀의 두께 문제가 있습니다.
개발 팀장님의 요청사항으로 신규 활물질 (NCMA, LFP) Verification결과 정리 및 도입 가능성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파트장님은 추가로 향후 개선 DOE에 관한 Future-Work 을 덧붙였으면 한다고 의견을 주셨습니다.
엔지니어에게 실험 결과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는 자료를 작성하기 위해서 테이블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차트를 통해 분석하는 작업은 필수입니다. 보고서 작성 시에는 한 두 문장으로 간단하게 결론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엔지니어는 “숫자”로 결론을 표현하고 추상적인 표현사용을 지양하는 방향으로 보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결론은 데이터를 나열하는 것이 아닌 이번 DOE 에서 아쉬웠던 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음 DOE 계획이어야 합니다.
1. 제공된 data를 보고 분석해서 1주차에 제공된 고객 SPEC.(Requirement) 별 테이블 작성 (보기 편하게 숫자로 표현)
2. 기존 양극 (NCM) 에서 고 에너지 향 신규 양극 활물질 (NCMA) 적용 가능여부 결론 도출 (평가 결과 data 제공, SPEC. 에 부합하는지 여부 판단 PASS or FAIL)
3. DV 검증 일정 수립 후 고객 Sample 제출 가능 여부 판단
4. 실험 결과를 보고 다음 DOE에는 어떤 설계 내용을 실험하면 좋을지 개선안 포함 해서 보고서 작성
*참고 자료 #1 : 1주차 과제에서 계획한 Test 실제 data 제공
* 실험 계획법 이란? 링크 설명 참고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1664
*참고 자료 #2 : DOE 결과, 일정, 간이 설계 관련 정보
*업무 결과물 : PPT 3Page 이내로 작성하여 제출 | |
3주차 | 5월 26일(월) 20:00~22:00 | 3-1) 2차 과제 개별 피드백
3-2) 팀별 과제 수행 계획 발표(팀장) / 팀별 10분씩 |
5월 26일(월) 22:00~22:30 | 3-3) 줌 소회의실을 통해 팀별 다음 회의 일정 수립 | |
5월 31일(토) 23:59까지 | 팀 과제 수행 & 팀 중간보고서 작성
셀 설계, 원가 분석 (영업), 기획력/VOC 청취 (마케팅), 사업운영 / 고객 설득 시나리오 작성 (PM/PL )
자동차 전지 개발은 고객의 Requirement 를 잘 알고 소재의 특성뿐 아니라 가격 측면까지 고려한 Right-Fix-Design이 중요합니다.
실무 업무를 진행할 때 양산 직전에 VE (Value-Engineering)를 통해 셀의 단가를 낮추는 작업을 종종 하게 됩니다. 협업을 통해 고객의 VOC (Voice of Customer) 청취, 셀 개발 설계 진행, 소재 수급 방안 검토, 원가 분석, 고객 협의 등 과제에 필요한 활동들은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고객을 설득해 보겠습니다.
제품 변경 시에는 DFMEA(design Failure Mode Effect Analysis),와 4M(Man, Material, Machine, Methode) change 관점 에서 설명하면 자동차 고객들은 쉽게 이해 합니다.
PM/PL 의 입장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고객을 설득하는 시나리오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팀 과제 중간 보고서(3차 과제/4주차 세션 전 제출) : 중간 보고서 양식 참고
*팀 과제 최종 결과물(4차 과제/5주차 세션 전 제출)
*참고자료 #1 : NCM, NCMA, LFP 활물질 COA , 활물질 Test DOE 결과 테이블 제공 (과제2 활용)
*참고자료 #2 : 각 활물질 별 구매팀에서 제공하는 제품 단가 및 양산에서의 문제점 테이블 제공
*업무 결과물 : PPT 3Page 이내로 작성하여 제출 | |
4주차 | 6월 2일(월) 20:00~22:00 | 4-1) 팀 과제 중간보고서 팀별 피드백
4-2) 줌 소회의실을 통해 팀별 과제 수행
- 4주차 세션의 남은 시간을 이용해, 팀별 과제를 수행합니다. |
6월 2일(월) 22:00~22:30 | 4-3) 소회의실을 통해, 다음 회의 일정을 수립합니다. | |
6월 7일(토) 23:59까지 | 팀 과제 수행 & 팀 과제 최종 결과물 제출
※ 3차 과제로 제출한 ‘팀 과제 중간보고서’를 참고하여, 최종 과제물을 제출합니다.
※ 1주차 세션에서 부여된 팀 과제와 동일합니다. | |
5주차 | 6월 9일(월) 20:00~22:30 | 5-1) 팀별 과제 발표 및 피드백
5-2) KPT 회고 작성 및 마무리 |
Co-Work 직무부트캠프에서는 진짜 실무를 다룹니다.
과제 안내서 예시1
과제 안내서 예시2
성공적인 팀 과제를 도와드립니다.
Zoom 라이브 세션 진행
Zoom 소회의실 세션